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파이썬36

[백준 18108 파이썬]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백준 18108 파이썬]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안녕하세요. 문제가 점점 길어지는 것을 보니 우리의 실력도 쑥쑥 늘고 있는 것 같네요! 이번엔 불기 연도를 서기 연도로 바꾸는 문제네요. 불기 연도에 대한 설명은 아래 문제에서 주어지지만 정확히 몇년 차이가 나는지는 제목에서 유추해야겠군요. 문제 분석 및 답안 불기 2541년생 - 서기 1998년생 = 543년 차이네요. 즉, 불기 연도가 543년 빠릅니다. 자, 필요한 재료는 준비되었으니 문제를 풀어봅시다. 불기연도 y가 주어질 때, 서기연도 y-543을 출력하면 해결될 것 같네요! 간단히 테스트 후 제출해 봅니다. 문제 길이에 비해서는 아주 쉽네요!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 12. 21.
[백준 10926 파이썬] ??! [백준 10926 파이썬] ??! 안녕하세요. 사칙연산 이후에 다시 순수한 문자열 문제가 나왔네요. (문자열 + '??!') 조금 심심해 보이지만 나중에 비정형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서 문자열도 많은 연습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문제 분석 및 답안 아이디 (문자열)을 입력 받아 뒤에 '??!' 기호를 추가해서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문자열을 더하는 방법은 사칙연산 중 첫 포스트 'A+B'에서도 간단히 소개해 드렸죠! 위 포스트에서는 단순히 주의사항이었는데 이렇게 빨리 실전에 써먹게 되네요. 임의의 변수 'id'로 문자열을 입력받고 덧셈기호 '+'로 문자열 '??!'를 연결하여 출력해 줍니다. id=str(input()) 과 같이 자료형을 문자열로 지정해 주면 더 정확하겠지만, input() 함수가 기본적으로.. 2022. 12. 21.
[백준 10869 파이썬] 사칙연산 [백준 10869 파이썬] 사칙연산 안녕하세요. 이번 문제는 사칙연산 종합 세트입니다. 문제 분석 및 답안 '+', '-', '*', '/' 가 사칙연산이죠? 그런데 '%'는 뭘까요? 보통 '퍼센트'를 나타내는 기호인데, 파이썬에서는 나눗셈에서 '나머지' 만 구하는 연산자로 쓰입니다. '몫' 만 구하는 연산자인 '//'도 있습니다. 나머지와 몫은 모두 정수형으로 표현됩니다. '%', '//', '/' 순서대로 나머지, 몫, 나눗셈 연산을 수행해 본 결과입니다. '%'의 쓰임새는 특정 자리수의 숫자를 확인할 때 쓰는데, 필요한 문제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 다시 문제로 돌아가서, 정직하게 A+B, A-B, A*B, A/B, A%B 를 출력하는 코드를 제출하면! 애석하게도 "틀렸습니다"가 되는군요! .. 2022. 12. 20.
[백준 1008 파이썬] A/B [백준 1008 파이썬] A/B 안녕하세요. 사칙연산 중 마지막, 나눗셈 문제입니다. 문제 분석 및 답안 덧셈, 뺄셈, 곱셈과 비슷하게 연산자만 '/'로 입력해 주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참고 그런데 뭔가 이상하죠? 3이면 3이지 3.0은 무엇일까요? 바로 나눗셈의 결과는 float (실수, 부동소수형) 자료형으로 표현되기 때문이죠! 정수의 나눗셈이 나누어 떨어지는 경우 (나머지 0)에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이유는 문제의 출력값 부분의 조건, "오차가 10-9 이하이면 정답이다." 부분에서 암시하듯이, 부동소수형인 float 자료형은 실수를 정확히 표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래 예시와 같이 이번 문제풀이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오차는 아주 작지만, boolean (참/거짓) 식을 사용해야 할 때는 골치아.. 2022. 1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