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2023년 최신 출산 지원 정부혜택 통합 신청 방법 한방 정리 (feat.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by 쉽게사는방법 2023. 1. 31.
반응형

2023년 최신 출산 지원 정부혜택 통합신청 방법 한방 정리 (feat.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안녕하세요.

이 글을 찾아오신 분들은 최근에 출산을 했거나 최소한 출산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일테니 축하드리고 응원합니다. 아마 임신하면서부터 각종 정부 혜택을 알아 보셨을텐데요. 출산하면 정부와 지자체에서 각종 혜택을 주고 있다는 건 어렴풋이 알고 있지만 정확히는 모르겠고 잘 찾아먹어야 할텐데 귀찮음이 앞서고 그러시죠. 저 역시 같은 마음이었고 결국 1도 알아보지 못한 채 갑자기 아이를 낳으러 갔다가 와이프가 시키는대로 신청을 하고나니 너무 쉬워서 방법을 소개해려고 합니다.

 

한줄 요약: 본인, 배우자 신분증, 아기 출생증명서를 가지고 주민센터 (구. 동사무소)에 가서 출생신고를 하면서 출산지원 통합 신청해달라고 한다.

(정부지원 신청은 직원이 알아서 통합으로 해줌. 끝. 안해주면 정부/지자체 지원 통합 신청해달라고 한다. 끝. 지원금 받을 계좌 사본은 필요한줄 알고 가져갔는데 그냥 적으면 되고 따로 받지는 않았음. 출생신고는 온라인으로 할 수 있지만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를 통합으로 받기 위해서는 주민센터로 직접 방문 필요.)

 

정부지원은 부모급여, 아동수당, 첫만남이용권이 있고, 지자체 지원은 출산지원금 (안양시), 산후조리비 (경기도) 등등이 있네요. 그리고 출생축하용품도 있고 전기료 경감도 있는데, 신청 방법은 '전기료 감면/할인' 포스팅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겠네요!

 

아무튼, 한줄요약만 하면 심심하니 각 혜택에 대해 대략적으로 알아봅시다. 지역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주민센터에서 알아서 해줄거라 믿습니다.

 

(1) 부모급여

 - 대상: 2022.1.1이후 출생, 가정양육을 하는 만 2세 미만 아동

 - 만 0세 (0~11개월): 70만원

 - 만 1세 (12~23개월): 35만원

 - 새로 생긴 제도인데 매우 쏠쏠하군요. 2024년부터는 0세 100만원이라는데 아쉽지만 그래도 좋습니다.

 

(2) 아동수당

 - 대상: 만 8세 미만 아동

 - 금액: 매월 10만원

 - 금액은 적지만 무려 0~7세 8년간 받을 수 있는 엄청난 제도군요. 포퓰리즘 공약으로 금액이 확대되면 좋겠습니다.

 

(3) 첫만남 이용권

 - 대상: 2022.1.1 이후 출생아

 - 지원금액: 출생아당 200만원

 - 사용기간: 출생일로부터 1년

 - 1년 기간제한이 있는 쿠폰같네요. 1천만원을 줘도 다 쓸 자신 있습니다. 출생아당이니 n둥이는 200만원 X n...

 

(4) 산후조리비 (경기도)

 - 대상: 출생일, 신청일 모두 경기도 거주자 (1년 이상거주 필요)

 - 지원금액: 출생아당 50만원

 - 사용기간: 지역화폐 카드 등록 후 3년 (이미 카드 사용하고 계신 분들은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 사용처: 산후조리원, 유아용품, 건강용품 등 (개별적으로 사용 가능한지 확인 필요할 듯 하네요)

 

(5) 출산지원금 (안양시)

 - 대상: 부 또는 모가 안양시 6개월 이상 거주 (6개월 미만인 경우 전입일~6개월 이후 신청 가능)

 - 지원금액: 첫째 100만원, 둘째 200만원, 셋째 300만원

 - 제가 사는 안양시 지원금입니다. 살기좋은 안양으로 오세요~ 하지만 동네마다 다른 이름으로 있겠죠! 

 

이상입니다.

전 뭐가 있는지도 모르고 갔는데 알아서 해주더라고요. 와이프가 산후조리비도 신청했어? 라고 물어봐서 그게 뭐야? 하며 신청내역을 봤더니 이미 다 신청되어 있더라고요. 세상 좋아진 것 같습니다.

 

꼭 신청하셔서 건강한 육아 하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